비트와 이진수 / 2의 거듭제곱과 10의 거듭제곱 (킬로,메가,기가,테라,페타)
009, 0과 1의 세계
디지털 시스템(컴퓨터)은 모든 유형의 정보를 숫자 값으로 표현한다. 의외라고 느낄 수 있겠지만,내부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십진수 체계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진수(binary number) 즉, 기수가 2인 수를 사용한다.
비트
디지털 정보를 표현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은 비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1940년대 중반에 통계학자 존 투키가 만들어냈다.
비트는 0 또는 1 중 하나의 값을 사용하고 다른 값은 사용하지 않는 숫자다. 이는 십진수에서 0부터 9까지 10개의 값을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 켜짐/꺼짐, 참/거짓, 예/아니오, 높음/낮음, 안/밖,.... 경우의 수는 매우 많다) 예를들어, 꺼짐에 0을 켜짐에 1을 할당하거나 그 반대로 할당할 수 있는데, 어느 값이 어떤 상태를 나타내는지 모두 합의하기만 하면 된다.
하지만 우리는 더 많은 선택지와 정보를 표시할 방법이 필요하여 다양한 조합에 의미를 할당했다. 비트 두 개를 사용하면 (00,01,10,11) 4개 밖에 표현을 못하지만 세 개를 사용하면 (000,001,010,011,100,101,110,111) 8개나 사용가능하다.
2의 거듭제곱과 10의 거듭제곱
$$2^n$$으로 늘어나는 값의 개수 | $$10^n$$으로 늘어나는 값의 개수 | |||||||
비트의 개수 | 값의 개수 | 비트의 개수 | 값의 개수 | 자릿수 | 값의 개수 | 자릿수 | 값의 개수 | |
1 | 2 | 6 | 64 | 1 | 10 | 6 | 1,000,000 | |
2 | 4 | 7 | 128 | 2 | 100 | 7 | 10,000,000 | |
3 | 8 | 8 | 256 | 3 | 1,000 | 8 | 100,000,000 | |
4 | 16 | 9 | 512 | 4 | 10,000 | 9 | 1,000,000,000 | |
5 | 32 | 10 | 1,024 | 5 | 100,000 | 10 | 10,000,000,000 |
컴퓨터 내부에서는 모든 것이 이진수로 처리되므로 크기와 용량 같은 속성이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2의 거듭제곱 중 일부는 10의 거듭제곱에 가까운 값이고, 기억하기 쉽게 규칙적이다. 따라서 이 연관 관계는 상당히 폭넓게 유용하다. '킬로' 또는 '1K'는 1,000과 2에 10승이나 1,024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인스타그램 10k면 만명과 용량 GB를 표현할 때 쓰인다. 기가는 2에 30승이라고도 불린다.
정리하면 컴퓨터는 이진수로 표현하는 비트를 이용하고,
내부에서는 모든것이 이진수로 처리되므로 크기와 용량 같은 속성이
2나 10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됩니다.
또한 일상에서 사용하는 용어로는 킬로,메가,기가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