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지

실전 프로젝트하며 기술적으로 막힌 Troble Shooting과 해결법 + 8주차 회고 본문

WIL

실전 프로젝트하며 기술적으로 막힌 Troble Shooting과 해결법 + 8주차 회고

MotherCarGasoline 2022. 6. 29. 16:21

https://velog.io/@mbsik6082/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 기능 구현하는 로그인와 회원가입에서 트러블 슈팅들을 정리해둔 글이다

처음이다보니 당연히 어려웠지만 그 중에서도 지금 진행중인 유효성검사hook-form사용과 토큰 받아오기다.

로그인과 회원가입은 프로젝트에서 계속 포함되면서 질문에 대한 답과 참고할 코드가 있지만 refresh토큰 받아오기와 유효성 검사 hook-form 사용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지금 현재는 유효성 검사에 hook-form과 Ref를 같이 사용하는데 오류가나서 헤매는 중이다.

추후에 해결 후 작성하고자 한다.

고민이 되는것은 훅폼+Ref을 먼저할지, 로컬에 있는 refresh를 쿠키로 받아오는것을 먼저 할지 우선순위가 애매해진 상황이다.

결과들은 카테고리 - 실전프로젝트 - 에 올리겠다.

https://mothercargasoline.tistory.com/110

 

로그인, 회원가입 구현 어디까지 갔니? Truoble Shooting EP.5

아직 와이어프레임이 안나와서 기능 구현에 힘을 실었다. 처음이다 보니 많이 더욱 더 얼탈줄 알았는데 옆에 멘토같은 리더님이랑 코드를 그래도 조금 써봤다고 전에 CRUD할 때 보다는 많이 성장

mothercargasoline.tistory.com

https://mothercargasoline.tistory.com/112

 

로그인, 회원가입 Refresh Token 구현하기! + local storage, access EP.6

오늘은 아침에 일어나 하루 종일 Refresh Token에 매달렸다ㅎㅎㅎㅎ 아침에 일어나서 어제 봤던 JWT와 Token 자료들을 훑어보고 점심 지나 시작하려했지만 진짜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지 몰라서 리더

mothercargasoline.tistory.com

https://mothercargasoline.tistory.com/113

 

redux 코드 사용 관련 팁들. 내가 잘못한 것들에 대한 피드백

개발 공부를 시작하니 총 3달이 되어 가는 과정에 급한 진도를 빼느라 따라했던것들이 잘못된것이라면?? 혹은 잘못된지도 몰랐다면?? 홀리시이시이잇~ 그래서 몇가지 피드백 받은것들을 적어보

mothercargasoline.tistory.com


6월 27일 50일차

  오늘까지 기획을 어느 정도 마무리하고 내일 부터는 내가 담당인 로그인,회원가입 코드작성을 시작해보려한다.

나는 이렇게 기획이 오래걸릴줄은 몰랐다. 근데 그만큼 기획이 탄탄해지고 나중에 말 나올 일이 없기에 너무 좋다.

부족했던 부분은 기획과 명세서를 보며 프론트입장에서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말을 해야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일단 지켜보기만 했다. 리더님이 옆에서 많이 봐주셔 다행이였다. 오늘 프로젝트 방향성, 프론트 ci/cd 설정과 확실한 담당분담 추가로 refresh 토큰사용과 소셜로그인 oauth 관련 설정을 팀과 같이 의논했고 초반 회의 내용은 소셜로그인이 백엔드 측에서 어려워 인가를 프론트에서 넘겨주는 방식으로 말이 나왔다. 그 때 백엔드 한 분이 화요일까지는 해보시겠다고하셔 백엔드측에서 관리해주는걸로 일단 진행된다. 내일 상황을 봐야겠다.

 

6월 28일 51일차

  어제 밤에 간단한 로그인,회원가입 css를 짜놓고 오늘 기능구현에 초점을 맞췄다. 기존 프로젝트에 게시글 조회,추가,삭제만 맡다보니 이번 로그인,회원가입은 처음이라 걱정되기도 했다. 이걸 시작하면서 내가 프로젝트에 민폐는 아닐까, 근데 팀원들도 새로운걸 도전해보자라는 식으로 리더님이 보살펴주셔 도전!!

오늘 로그인,회원가입은 instance 담아 완성까지 해놓고 getToken과 hook form validation을 새벽에 하려했으나 집에 일이 생겨 마무리하고 내일 아침에 해야겄다 끄읕

 

6월 29일 52일차

  7시에 일어나 씻고 준비하니 8시다. 앉아서 어제 해놨던걸 보고 11시에 전체회의로 프로젝트이자 우리가 만들 웹사이트네이밍을 하였다. 파일관리 드라이브로 브레인스토밍을 거쳐 zebi, moum, keepit 등등 에서 모아준다, 담는다라는 의미로 많이 나왔지만 결과적으로 moum이 정해졌다! 모음~ 모엄~ 모음집이라는 의미이다.

오늘 getToken을 받아와서 로컬에 저장하고 유효성 검사를 해보려했다